실크로드(Silk Road) |
**실크로드(Silk Road)**는 고대와 중세에 걸쳐 동서양을 연결했던 **대표적인 교역로(무역로)**입니다. 단순한 상업로가 아니라 문화, 종교, 기술, 사상이 교류되었던 인류사적으로 중요한 길입니다. |
|
실크로드의 개요
|
항목 |
내용 |
|
기원 |
기원전 2세기, 한나라 장건(張騫)의 서역 파견 이후 본격화 |
|
구간 |
중국 시안(長安) → 중앙아시아 → 페르시아 → 지중해 연안 (이탈리아 로마 등) |
|
해상 실크로드 |
중국 동남부 항구 → 동남아시아 → 인도 → 아라비아 → 동아프리카, 유럽 |
|
주요 교역품 |
비단(실크), 향신료, 보석, 유리, 종이, 철기, 말, 도자기 등 |
|
교류 내용 |
종교(불교, 이슬람, 기독교), 과학기술, 예술, 문명, 역병(흑사병 등) |
|
|
실크로드의 주요 루트
-
육상 실크로드 (Silk Road Overland Route)
-
동쪽 시작점: 중국 장안(지금의 시안)
-
중앙아시아 경유: 둔황, 타클라마칸 사막 북·남로 → 사마르칸트(우즈베키스탄), 바그다드
-
서방 도착지: 로마, 콘스탄티노플, 지중해 무역항
-
해상 실크로드 (Maritime Silk Road)
|
|
역사적 의의
-
경제적 역할: 동서무역을 통한 부의 축적과 도시 발전
-
문화적 역할: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 한국, 일본으로 전파됨
-
기술 확산: 제지술, 인쇄술, 화약 등이 서방으로 전해짐
-
세계사적 의의: 유라시아 전체가 연결된 초국가적 네트워크의 시초
|
|
쇠퇴의 원인
-
몽골 제국 붕괴(14세기 이후): 정치적 불안정성 증가
-
오스만 제국의 부상: 유럽과 아시아 간 육상 무역 장벽
-
대항해시대 개막(15세기): 해상 무역의 급부상으로 육상 실크로드 쇠퇴
|
|
현대의 실크로드
|
|
실크로드의 상징성
실크로드는 단순한 상업 경로가 아니라,
인류 문명의 교류, 평화적 공존, 문화 융합을 상징하는 역사적 아이콘입니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