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백제(後百濟, 892~936)
후백제(後百濟, 892~936)는 신라 말기의 혼란 속에서 **견훤(甄萱)**이 전라도 지역을 기반으로 세운 나라입니다. 고대 삼국 중 하나였던 백제의 부흥을 자처하며 건국되었으며, 후삼국 중 하나로 고려·신라와 대립하다 936년 고려에 의해 멸망했습니다.
 

후백제 개요

항목 내용
건국자 견훤(甄萱)
건국연도 892년
멸망연도 936년
수도 완산주(전주)
정체성 고대 백제의 부흥을 표방
주요 경쟁국 고려(후고구려 → 태봉), 신라
 

형성과정

  1. 신라 말기 사회 혼란

    • 중앙 정부가 지방 통제를 상실.

    • 각지에서 호족들이 독립 세력화.

  2. 견훤의 등장

    • 본래 신라 장군으로 무진주(광주) 출신.

    • 892년, 무진주를 점령하고 완산주로 진출.

    • 백제의 후예임을 자처하며 "후백제" 건국.

 

견훤과 후백제의 정치

  • 자주적 행정체계 확립: 스스로 왕을 칭하고, 관제 조직.

  • 강력한 군사력: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일부까지 세력 확장.

  • 백제 계승 강조: 백제의 전통을 계승하여 정통성을 주장.

 

고려와의 대립

  • 927년: 경주 침공 → 신라 경애왕 살해 → 신라 약화.

  • 930년: 고려와 고창(안동) 전투에서 패배.

  • 이후 군사력 약화와 정치 내부 갈등이 심화됨.

 

견훤의 몰락

  • 아들 신검(神劍) 등 자식들과의 권력 다툼.

  • 935년, 신검에 의해 견훤은 금산사에 유폐됨.

  • 견훤은 탈출해 고려로 망명, 왕건과 연합.

 

후백제의 멸망 (936년)

  • 왕건이 견훤과 함께 후백제 공격.

  • 황산 전투 등에서 신검군 궤멸.

  • 후백제 수도 완산주 함락, 신검 항복 → 후백제 멸망.

 

후백제의 역사적 의의

  • 신라 말기 민심 이반의 상징: 호족 중심의 민중 기반 정권.

  • 백제의 문화와 정통성 계승 시도.

  • 후삼국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 견훤은 전투적·개혁적 성향의 군주로 평가되며, 왕건과 함께 이 시기를 대표하는 인물.

 

관련 인물 정리

인물 설명
견훤 후백제 건국자. 뛰어난 전략가이자 실력자. 아들에게 배신당함.
신검 견훤의 아들. 아버지를 유폐시키고 왕위에 올랐으나 결국 왕건에게 패배.
왕건 고려 건국자.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후삼국 통일 완성.